1. 글을 시작하며
: 최신 스마트폰이 5G 전용으로 출시되며 스마트폰을 구매하고 어쩔 수 없이 5G 요금제를 사용하다가 기간이 완료되어 LTE 요금제로 바꾸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같은 세대 서비스끼리 요금제를 변경하는 것보다 절차가 까다로운 이유 중 하나는 통신사가 LTE와 5G 전산 시스템을 아예 분리해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공시 지원금을 받고 6개월 이내에 요금제를 변경하면 위약금을 내야 하는 경우가 생기고 선택 약정 할인을 받았다면 더 싼 요금제로 변경할 경우 할인 혜택이 줄어들기 때문에 자신이 스마트폰을 구매할 때 작성한 계약서를 잘 참고하여 요금제를 변경해야 한다.
이처럼 불편과 부담을 무릅쓰면서도 요금제를 옮기는 이유는 8만 원대부터 시작하는 비싼 5G 요금제와 통신 품질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2. 요금제 변경 방법
: 요금제 변경에는 LTE 유심칩이 필수이다. 기존 사용하던 LTE 스마트폰의 유심칩을 5G에 꽂아 사용했다면 그대로 사용해도 좋으나 5G 유심칩일 경우 LTE 유심칩을 추가로 구매해주어야 한다.
1) 준비물
: 5G 스마트폰, LTE 유심칩, LET 스마트폰
2) 변경 방법
가. 5G 스마트폰에서 유심을 뽑아 준비한 LTE 스마트폰에 꽂은 뒤 전원을 켠다.
나. LTE 스마트폰이 데이터와 통화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여러 차례 부팅시켜준다.
다. 통신사에 통화하거나 근처 대리점에 가서 LTE 요금제로 변경한다.
라. 요금제 변경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 유심을 뽑아 다시 5G 스마트폰에 꽂는다.
마. 5G 스마트폰이 데이터와 통화를 정상적으로 사용되는지 확인한다.
3. 통신사의 속사정
: 통산 사는 5G 망 구축전 5G 이용자들을 확보 후에 이를 서비스하려는 의도인데 사실 의도 자체가 잘못되었다. 예를 들자면 낚시터에 먹이를 풀어놓고 낚시꾼들을 받아야지 값싼 낚싯대로 사람들을 유인하고 텅텅 빈 낚시터에서 낚시를 하게 뜸한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통신사는 5G 요금제를 계약한 사용자가 이를 파기하고 LTE로 돌아가는것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거나 권장할수 없다는 입장인데 그렇다면 가격이라도 낮추어 LTE보다 저렴한 가격에 내놓는것이 마땅할터인데 서비스품질도 좋지않은데다가 가격도 비싼 5G요금제를 누가 쓰겠다는 소리인지 답답하다.
이상
- [요금제 변경] 5G에서 LTE로 변경하는 방법
'좋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사소송 첫걸음(소송 노하우 알아보기) (4) | 2020.07.28 |
---|---|
층간소음 대처방법 알아보기 (4) | 2020.07.26 |
아기에게 어떤 분유를 먹여야 할까? (370) | 2020.07.16 |
모유수유 중 엄마가 피해야 할 음식은 무엇일까? (4) | 2020.07.16 |
[2020년] 청년재직자 내일채움 공제 신청안내 (4) | 202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