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유치권의 의의와 성립요건 알아보기

반응형

1. 유치권

 

1) 그 물건에 관한 채권을 전부 변제받을 때까지 타인의 물건 전부를 유치할 수 있는 권리
2) 유치권자의 점유는 유치권의 성립요건인 동시에 존속요건임
3) 유치권자가 점유를 상실하면 유치권도 소멸
4) 경매절차에서 매수인은 유치권자의 채권을 변제할 책임이 있음
5) 유치권자는 채권 전액을 변제받을 때까지 유치물 전부에 대하여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음
6) 유치권은 등기할 수 없음

 

2. 유치권의 성립요건

 

1) 유치권자의 점유 : 목적물의 점유는 유치권의 가장 중요한 성립요건
2) 제3자에 의하여 불법으로 점유를 빼앗긴 경우 다시 점유를 되찾게 되면 처음부터 점유를 계속하고 있던 것으로 간주됨
3) 견련성이 있어야 함 (그 부동산에 관하여 생긴 채권이어야 함)
4) 채권의 변제기가 도래하지 않은 동안은 유치권이 성립하지 않음
5) 유치권을 행사하지 않기로 하는 특약은 없어야 함(※ 계약당시 특약사항 꼭 확인하기)

 

3. 대항력 있는 유치권자의 판단방법

 

1) 매수인에게 대항력 있는 유치권자 : 경매개시결정등기 전에 유치권을 취득한 유치권자
2) 매수인에게 대항력 없는 유치권자 : 경매개시결정등기 후에 유치권을 취득한 유치권자

 

4. 임차인의 유치권신고에 대한 분석

 

1) 임대차계약 종료 시에 건물을 원상으로 복구하여 임대인에게 명도하기로 약정한 경우 유치권 행사 불가
2) 건물에 대한 임대보증금이나 권리금그 건물에 관하여 생긴 채권이 아니므로, 이를 통해 유치권 행사 불가

 

 

 

이상

 

- 유치권의 의의와 성립요건 알아보기

 

 


 

 

실무 유치권 관련 분쟁에 대한 동영상 공유드립니다~

 

https://youtu.be/XEPjtUg2Bac

 

반응형